top of page

설교25-15 고후4가이드

고후4:1-10,15-18, 핵심 구절 고후4:6

영과 진리로 예배하는 참 예배자를 찾으시는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의 예배를 통해 올려 드리는 모든 감사와 찬양과 영광을 기쁘게 받으실 줄 믿습니다.

오늘 2025년 열번째 주일을 맞아, 여러분 모두에게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해 이루신 모든 은택들을 우리에게 적용하시는 성령님의 은혜와 또 그의 권능으로 말미암아 복음의 기쁜 소식을 온 세상에 전하는 영광과 은혜와 축복이 가득하시기를 기도합니다. 우리는 지지난 주, 하나님의 창조의 목적이 “하나님의 영광의 선포”에 있고, 또한 우리 인간의 삶의 목적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인 바, 오늘 본문 고후 4장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과 “예배” 그리고 우리들에게 주어진 영광에 대해서 묵상해 보고 은혜 나눌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1)    오늘 본문은 바울이 2차 전도여행을 하면서, 개척한 고린도 교회에서 은사에 대한 잘못된 이해, 도덕적 삶의 문제 그리고 바울의 사도직에 대한 도전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전해 듣고, 4차례에 걸쳐 편지를 써 보냈는데, 오늘 고린도후서는 4번째 쓴 편지로 그동안 여러 차례에 걸친 편지와 사역자들을 보냄으로 고린도 교회의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기쁜 소식을 전해 들은 상태에서, 고린도 교인들을 격려하고 바울의 사도직을 부인하는 순회 사역자에 대항하여 자기의 사도직에 대해서, 변론하는 내용입니다.

2)    그는 오늘 본문을 통하여, 이제껏 자기는 보배이신 그리스도의 복음의 진리만 증거하였는데 (v.2) 그리스도의 주되신 것과 그리스도를 위하여 자기가 고린도 교회 성도들의 종이 된 것을 (v.5) 질그릇과 같이 연약한 자기의 지혜와 능력을 의지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의 능력만 의지하여(v.7) 전하였는데, 그렇게 고난, 박해, 죽음을 짊어지면서 까지 (vv.8-10) 복음을 전한 이유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한 것이었으며 (v.15), 또한 그들에게 이루어 주실 영광을 위한 것이었다고 변론하고 있습니다.

3)    그런데 오늘 바울은 진리의 복음에 대해 말하면서 “영광”이란 단어를 4번이나 쓰고 있는데,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 (v.6). 그리스도의 영광 (v.4), 하나님께 올려 드리는 영광 (v.15), 그리고 우리에게 이루어져 가는 영광 (v.17) 을 말씀하고 있는데, 하나님의 창조의 목적이 “하나님의 영광의 선포”에 있듯, 복음을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주제로 놀랍게 해석하고 있습니다.

4)    먼저 하나님의 영광은 원래 인간이 도저히 범접할 수 없는 혹은 볼 수 없는 신적 본질의 무한한 탁월성 (리처드 멀러 교수의 정의)으로 이 “불가사의”는 인간들로부터 거룩한 경탄을 자아내고 하나님을 향한 경외감을 불러 일으키는데, 이것을 G.K. Beale 은 “본질적 영광 (Essential Glory)” (G.K. Beale, We become what we worship)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우리가 도저히 볼 수 없는 하나님의 영광을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에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나타내 주셨는데, 이것을 “표출된/표현된 영광 (Displayed/Expressed Glory)”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14:9에서 예수님께서는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다”라고 말씀하셨던 것이며, 칼빈은 그의 시편 8:3 주석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을 특별한 방식으로 보는데, 하나님이 인간들에게 주시는 큰 은총과 선하심이신 그리스도를 통해 본다”라고 말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그리스도의 영광은 그의 몸된 교회 (엡1:23) 즉 우리를 통해서도 세상으로 드러나는데, 그것을 반사된 영광 (Reflected glory)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의 몸 된 우리는 그의 영광을 반사할 뿐 만 아니라 우리 자신에게도 서서히 영광이 이루어져 가는데 (v.17), 그래서 주님께서는 요 17:22 에서 “내게 주신 영광을 그들에게 주었다”라고 말씀하신 것이며 고후 3:18 에서는 “우리가 주님의 영광을 바라볼 때에 성령님께서 우리를 주님과 같이 점점 영광스런 모습으로 변화시켜 가신다”고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우리가 점점 영광스런 존재로 변화해 가면서 그리스도의 영광을 반사하는 것을 오늘 본문 15절에서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것을 G.I. Williamson 은 웨스트민스트 소요리 문답 Q&A1 해설에서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과 영원토록 그를 즐거워하는 것”인데, 여기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는 말은 하나님을 더 영화롭게 한다는 말이 아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이미 영원히 완전하게 영화로우신 분으로 어떤 창조물도 하나님을 더 영화롭게 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는 뜻은 하나님의 영광 (속성)을 Reflect 즉 되비춘다 혹은 반사한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던 것입니다.

5)    오늘 본문 말씀을 통해서 몇가지 은혜를 나누기 원하는 것은, 첫번째 크리스천의 정체성 즉 Identity 는 우리 인간이 도저히 범접할 수 없었던 하나님의 본질적 영광이 그리스도의 얼굴에 나타났고, 그의 몸된 지체로서 점점 영광스런 존재로 변해가는 동시에 주님의 영광을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온 세상에 되비춤으로써,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둘째로 그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것이 바로 예배인데, 주일 24시간 경도를 따라 예배가 온 족속과 방언과 나라에서 올려 드릴 때에, 이러한 예배의 영광의 퍼레이드가 온 지구와 온 우주에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낼 뿐 만 아니라, 주중에는 성령으로 인치심을 받은 크리스천들이 삶의 현장으로 흩어져 하나님의 영광을 반사하는 삶의 예배를 올려 드리는 것이 바로 예배의 영광이요 우리 크리스천들의 산제사로, 이렇게 24/7 일주일 내내 예배하는 삶을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올려 드리는 것이 우리들의 삶임을 깨달아, 오늘 이 시간 부르신 각자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영광의 자녀들로 살아갈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기도 하옵기는, 우리 교회 모든 성도님들 위에, 특별히 주일을 맞아, 하나님의 영광이 임재하고, 또 그렇게 하나님의 영광을 덧 입은 우리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그 하나님의 영광을 되 비추며 하나님께 영광 올려드리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축복합니다.

소그룹 모임 가이드 및 예제 질문

Q1 우리들 모두는 주님으로부터 영광을 받아 매일 매일 더 영광스런 존재로 변해가고 있을 뿐 만 아니라, 또한 우리 각자가 부르신 그곳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되비추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24/7 이런 하나님의 영광이 보이십니까? 이런 하나님의 영광의 부르심이 들리십니까?

Q2 여러분들의 삶에서 여러분들이 드러내는 하나님의 영광 즉 하나님의 영광스런 속성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또한 앞으로 어떻게 여러분들의 삶을 통해서 하나님의 영광스런 속성을 드러내시겠습니까? 그리고 특별히 여러분들 각자에게 주신 하나님의 영광은 어떤 모양입니까?

Q3 그렇게 여러분들에게 맡겨 주신, 하나님 나라를 세워갈 곳은 어디인가요? 그곳에서 여러분들은 하나님의 영광의 자녀로 하나님의 속성을 온 몸으로 온 삶으로 드러내고 있으신가요? 조용히 기도하면서 하나님의 뜻을 묻고 주시는 은혜를 누릴 수 있으시기를 소망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기도 노트

(  오늘 말씀중 깨달아진 하나님의 성품  ) 하나님 아버지!

(  지난 한주간 혹은 오늘 하루 동안 감사한 일들 ) 해 주심에

찬송과 감사와 영광을 주님께 올려 드립니다.

오늘 말씀을 통하여 (        깨닫게 해주신 죄          )를 깨닫게 해주셨음에 감사하며,

회개할 때에 용서해 주옵시고 이제 (  새 삶  )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 주옵소서

특별히 오늘 말씀을 통하여 ( 새롭게 배운 점 ) 을 가르쳐 주심에 감사하며

(    삶의 도전     ) 살 수 있도록 은혜를 더하여 주옵소서

( 주님의 성품 ) 우리 주님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Comments


bottom of page